Yahoo Suche Web Suche

Suchergebnisse

  1. Suchergebnisse:
  1. 대한민국 ( 한국 한자: 大韓民國, 영어: Republic of Korea) 또는 한국 은 동아시아 의 한반도 군사 분계선 남부에 위치한 나라 이다. 대한민국의 국기는 대한민국 국기법에 따라 태극기 [5] 이며, 국가 는 관습상 애국가, 국화 는 관습상 무궁화 이다. 공용어 는 한국어 와 한국 수어 이다. 수도 는 서울특별시 이다. 인구는 2024년 2월 기준으로 5,130만명 [6] 이고, 이 중 절반이 넘는 (50.74%) 2,603만명이 수도권 에 산다. [7]

  2. en.wikipedia.org › wiki › South_KoreaSouth Korea - Wikipedia

    South Korea, [b] officially the Republic of Korea ( ROK ), [c] is a country in East Asia. It constitutes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borders North Korea along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though it also claims the land border with China and Russia.

    • 명칭
    • 지리
    • 문화
    • 인구
    • 언어와 문자
    • 외부 링크

    '한' (韓)과 '대한'

    지역명으로서 '한국' (韓國)은 삼한 (三韓)에서 유래된 말이지만, 원삼국 시대의 고대 부족연맹 국가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삼국시대의 세 국가를 가리킨다. 한자로 '韓'의 정확한 의미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중국의 기록을 통해 음차된 발음만 알려져 있을 뿐이다. 한을 “크다” 또는 “중앙”이라는 뜻의 고유어로 해석하는 설, 알타이어족과 몽골족에 속하는 몽골어나 튀르키예어로 왕을 나타내는 칸과 관련이 있다고 보는 설이 유력하다. 한국이 국명으로 쓰이게 된 것은 1897년 조선이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변경하고 그것의 별칭·약칭으로 '대한국', '대한', '한국'으로 쓰이기 시작하면서부터이다. 《고종실록》 1897년 10월 11일자 기사에서는 "우리 나라는 곧 삼한의 땅인데, 국초에 천명을 받고 하나의 나라로 통합"되었으며, 이미 세상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대한'으로 국호를 고쳐 쓰라는 고종 황제의 어명이 기록되어 있다. 한국이라는 명칭은 1910년 한일병합 직후 칙령 반포와 조선...

    '조선'

    '조선' (朝鮮)은 고대 국가이자 한민족이 세운 첫 국가인 고조선으로부터 유래한 명칭으로, 그 의미는 분명치 않다. 1392년 태조 이성계가 세운 국가인 조선의 국호로 500여년 간 사용되었다. 1910년 한일병합 이후 조선총독부는 대한제국이라는 기존의 국호를 폐지하고, 한반도 지역에 대해 '조선'으로 명명하였다. 이는 해방 이후 군정기에도 이어져, 남과 북을 가리지 않고 지역명으로써 사용되었다. 1947년 38선 이북의 소련 군정기가 끝나고 세워진 북조선인민위원회는 조선임시헌법 제정을 위한 제4차 회의에서 지역명 '조선'에 '민주주의'와 '인민공화국'을 더해, 자국의 국호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채택하였다. 이는 1948년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 제정과 정부 수립으로 이어졌다. 다만 여기서의 '조선'은 고조선이나 근세의 조선을 계승한 것이 아니라 '새조선'이라는 의미를 천명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지역명으로서의 '조선', 국명의 약칭으로서의 '조선'과 구분...

    한국은 동아시아의 한반도에 위치하고 있다. 북쪽과 북서쪽으로는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북동쪽으로는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 및 러시아와 마주하고 있다. 삼면이 바다인 한국에는 서쪽으로 서해(황해), 동쪽으로 동해, 남쪽으로 남해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한반도 및 부속도서의 최북단은 함경북도의 온성, 최서단은 평안북도의 마안도, 최동단은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한 섬 독도, 최남단은 마라도이다. 한반도의 동부 및 북부는 비교적 높은 산들로 이루어진 산지 지형을 특징으로 하고, 서부는 대체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서해로 흘러드는 하천에 의해 형성된 여러 충적평야와 구릉지들이 나타난다. 한국에서 가장 높은 산은 백두...

    한국은 반도에 있는 지리적 조건으로 대륙 문화와 해양 문화의 영향을 모두 받았다. 한국 문화는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의 북방계와 남아시아, 동남아시아의 남방계가 혼합된 바탕에 지리적으로 가까운 이웃들과의 교류에서 영향을 받았으나 독자적인 문화로 발전했다. 전통 음악은 풍물놀이, 아리랑등이 있다.

    조선시대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조선의 인구는 대체로 700만 명을 넘지 못했다. 조세와 부역 등을 피하려고 호구조사를 기피하는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40% 가까이 누락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실제 인구는 조선 시대 중기에 와서 1천만 명 내외, 후기에는 약 1,300만 명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1910년 조사에 따르면 대한제국의 인구는 약 1,312여만 명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1910년 무렵에는 1,742만 명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한다.현대적 인구 조사를 한 1925년에는 1,900만여 명, 1935년에는 2,289만9천여 명 1944년에는 2,590만여 명으로 증가하였다. 1911년의 성비(여자 100...

    한국어

    한국어가 언어이며 반도 전체의 공용어는 한국어이다. 다만 대한민국의 경우 한국 수화를 추가 공용어로 두고 있다. 한국어는 교착어로 분류되기도 한다.

    한글

    한국어를 표기하는 글자는 한글이다. 한글은 기본적으로 말소리를 기호로 표시하는 표음 문자이고, 자음과 모음을 구분하는 음소 문자이며, 발음의 유사성에 따라 형태의 규칙성을 띠는 매우 정교한 자질 문자(예. ㄱ·ㅋ·ㄲ, ㅏ·ㅑ·ㅐ·ㅒ)이다. 또, 한글은 자음과 모음의 글자를 결합해 하나의 음절을 독립적으로 표시하는 글자를 만드는 형태로 표기한다는 점에서 다른 문자와 두드러지게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국어 표기에 쓰이는 문자인 한글은 조선의 세종대왕이 백성들을 위해 직접 만든 문자 체계이다. 세종대왕은 한글 창제 후 정인지·신숙주·성삼문·박팽년 등 집현전 학사들과 함께 해설서인 《훈민정음 해례본》를 만들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란 이름으로 1446년에 반포하였다. 한글 창제 이전에는 한자(漢字)로 문서가 작성되었으나, 표의 문자인 한자로 한국어를 표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서 향찰, 구결, 이두 등 차자 표기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도 지배층인 양반(兩班)...

    대한민국

    1. (영어) 대한민국 정부대표 다국어 웹사이트 2. 대한민국 전자정부 3. (영어) 론리플래닛의 정보(남한) 4. (영어) CIA의 세계 정보(남한편) Archived 2015년 7월 3일 - 웨이백 머신 5. 반크(VANK) 동해의 사실편 2000년 6. 반크(VANK) 극동아시아와 간도편 2008년 7. 반크(VANK) 외래어 국제등록 수정편 2011년

    기타

    1. (영어) 론리플래닛의 정보(북한편) 2. (영어) CIA의 세계 정보(북한편) Archived 2020년 5월 18일 - 웨이백 머신 3. 반크(VANK) 조선과 동북공정편 1999년 4. 반크(VANK) 북방의 잃어버린 국토편 2004년

  3. en.wikipedia.org › wiki › KoreaKorea - Wikipedia

    Korea ( Korean: 한국, romanized : Hanguk in South Korea or 조선, Chosŏn in North Korea) is a peninsular region in East Asia. Since 1945, it has been divided at or near the 38th parallel, now known as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In 1948, two states declared independence, both claiming sovereignty over all of Korea: South Korea ...

    • right
    • Korean